청년마을 주인공 모집 최대 6억 원 지원!
청년마을 사업의 배경
전라남도 고흥군의 '꿈이름마을'은 지역의 청년들에게 필요한 기술을 전수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특히 빈집을 비롯한 8개의 유휴공간을 스테이 공간으로 활용함으로써 지역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이러한 노력은 청년들이 지역 사회에 더욱 깊이 뿌리내릴 수 있도록 돕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올해 2025년 청년마을 만들기 지원사업에 참여할 청년단체를 모집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청년과 지역의 상생 발전을 도모하고 있다. 이번 공모는 2024년 2월 14일까지 진행하며, 최종 선정된 단체에게는 3년간 최대 6억 원의 사업비를 지원할 예정이다.
청년마을 만들기 지원 사업 개요
청년마을 만들기 지원 사업은 2018년부터 시행된 프로그램이며, 지역에 특색 있는 청년마을을 조성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지방소멸 문제에 대응하고 지역 사회의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추진되고 있다. 이 사업은 그동안 전남 목포의 '괜찮아마을', 충남 서천의 '삶기술학교', 경북 문경의 '달빛탐사대' 등 다양한 사례가 있으며, 현재까지 39개의 청년마을이 전국에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청년마을 프로젝트는 청년들이 지역에 정착하고 기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지역 사회와의 연결 고리를 강화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 청년들이 다양한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지역 사회에 기여하고 있다.
- 지자체와 협력하여 지역 유휴공간을 활성화하고 있다.
- 청년들이 지역 특성에 맞는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활동할 수 있다.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청년의 혜택
청년마을에 참여하는 청년들은 일정 기간 지역에 머무르며 지역 커뮤니티와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기회를 갖는다. 이들은 직접 활동 공간을 기획하고 운영하는 과정에서 지역 사회와의 유대감을 느끼며, 이를 통해 청년 인구의 지역 유입과 정착에 기여하고 있다. 특히, 지난 해에는 약 20만 명의 청년이 지역 살아보기 프로그램, 축제, 및 다양한 교류 행사에 참여하여 인적이 드물었던 지역에 활기를 불어넣었다. 이처럼 청년마을은 지역 활성화에 기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청년들의 창의적이고 다양한 활동을 통해 지역 사회의 변화도 이끌고 있다.
경쟁률과 지원 절차
2021년부터 지금까지, 매년 청년마을 공모에 150여 개의 청년단체가 지원할 정도로 높은 경쟁률을 기록하고 있다. 이러한 관심은 청년들이 지역 사회의 존재 가치를 깨닫고, 이를 통해 개인의 꿈과 관련된 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기회를 얻고자 하는 열망을 반영한다. 올해의 공모는 2년 만에 진행되고 있어, 더 많은 청년들이 관심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지원하고자 하는 청년단체는 행정안전부의 공식 누리집에서 세부 공고문을 확인하고, 사업 계획서와 필요한 증빙 자료를 제출해야 한다. 이를 통해 청년 정책 및 지역 활성화 분야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이 최종 12곳을 선정하며, 심사 과정은 서류 심사, 현지 실사 및 발표 심사 등 여러 단계를 거친다.
지원과 성과
지원 기간 | 지원 금액 | 최종 선정 개수 |
3년 | 최대 6억 원 | 12개소 |
이 사업의 성과는 다양한 청년들의 지역 사회로의 유입뿐만 아니라, 청년들이 공동체 정신을 발휘하여 지역을 위한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그 과정에서 성장하고 발전하게 된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청년마을을 통한 지역 활성화는 단순히 공공의 이익뿐만 아니라, 개인의 꿈 또한 이루어질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청년단체들은 지역 사회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힘쓰며, 지역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청년과 지역의 동반 성장
김민재 행안부 차관보는 "청년마을 프로그램을 통해 청년들이 지역에서 성장 가능성을 발견하고, 지역과의 관계를 강화하는 체험을 하게 된다"고 언급하였다. 이는 청년들이 자기 자신의 꿈을 실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역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지역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고, 청년들이 지역에 머무르고 싶은 공간으로 만들어 가는 데 기여하고 있다. 올 한 해에도 많은 청년들이 이 사업에 참여하여 새로운 꿈을 펼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하였다.
문의 및 추가 정보
이번 공모의 자세한 사항은 행정안전부 균형발전지원국 지역청년정책과(전화: 044-205-3407)로 문의하면 된다. 행정안전부의 공식 웹사이트에서 필요한 모든 정보와 공고문을 통해 신청 절차 및 관련자료를 확인할 수 있다. 청년단체들은 이를 바탕으로 지역과 함께 성장하기 위한 다양한 아이디어를 모색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정책뉴스자료는 정책브리핑에서 얻을 수 있으며, 해당 자료는 출처 표기를 통해 자유롭게 이용 가능하다.
결론
2025년 청년마을 만들기 사업은 청년층의 지역 정착과 유입을 촉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지역 사회는 물론 청년들 자신에게도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훌륭한 기회가 될 것이다. 지역과 청년의 조화로운 발전을 위한 프로젝트가 지속적으로 이어지기를 바라며, 이러한 사업들이 앞으로도 계속적으로 활성화되었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