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돌봄 서비스 누구나 이용 가능한 시대 열린다!
워킹맘의 초등학교 입학 공포
자녀의 초등학교 입학은 워킹맘에게 기쁨보다는 공포로 다가온다는 말이 있다. 실제로 많은 워킹맘들이 아이의 초등학교 1학년 때 사표를 고민한다고 한다. 어린이집이나 유치원보다 하교시간이 일러 어쩔 수 없이 ‘학원 뺑뺑이’를 시키게 되지만, 그마저 좋은 대안은 아니기 때문이다. 실제로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지난해 초등학교 1~3학년 자녀를 둔 직장여성 1만 5,841명이 퇴사했다. 초등학생 자녀를 둔 경력단절 여성은 2016년 33만 명에서 지난해 2,000명 가량이 늘었다. 이러한 상황은 일하는 여성이 마음 편히 아이를 낳고 기르는 사회를 만드는 데에 심각한 장애가 된다. 아이돌봄 서비스의 확대·강화가 필요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유보통합 확대와 돌봄 시간 증가
유보통합을 통해 희망하는 영유아 누구나 1일 12시간까지 돌봄이 가능해졌습니다. 9월 1일부터 유치원 68곳과 어린이집 84곳 등 전국 152개 기관에서 유보통합이 시범 운영 중이다. 유보통합이란 이원화되어 있던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장점을 합하여 영유아의 보육 교육 환경 격차를 줄이기 위해 정부가 중점 추진하는 정책이다. 이제 어린이집과 유치원 모두 기본 운영시간 8시간에 아침과 저녁 돌봄 4시간을 추가하여 하루 최대 12시간까지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맞벌이 부모들이 늦은 퇴근에도 불안해하지 않고 아이를 맡길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 것이다.
-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장점을 결합하여 보육과 교육의 환경을 통합했습니다.
- 아이돌봄 서비스의 접근성을 높여 맞벌이 부모들에게 큰 힘이 되고 있습니다.
- 하루 12시간 돌봄 서비스를 통해 부모의 근무 시간에 맞추어 유연한 돌봄이 가능합니다.
교사 대 아동 비율 조정
교사 한 명이 담당하는 영유아 수를 줄여 교육과 돌봄의 질이 높아졌습니다. 현재 만 5세반 기준으로 교사 1명이 최대 25명까지 맡을 수 있지만, 이제는 지역별 차이를 고려하여 5세 아이는 18명을 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교사가 담당하는 아동 수를 줄임으로써 아동 개개인에 대한 관심과 교육의 질이 높아질 수 있다. 이 또한 부모들에게는 안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게 된다. 영유아 교육의 질이 올랐다는 것은 매우 긍정적인 변화이다.
늘봄학교의 도입
국가의 초등 돌봄 브랜드인 '늘봄학교'가 전면 도입되었습니다. 올해 2학기부터 전국 모든 초등학교에 ‘늘봄학교’가 시행중이다. 이는 기존의 방과후 학교와 돌봄교실을 통합한 프로그램으로, 학부모들의 돌봄 고민을 덜기 위한 취지에서 도입되었다. 늘봄학교는 최대 오전 7시부터 오후 8시까지 아이를 돌보며 매일 2시간의 맞춤형 프로그램이 무료로 제공된다는 점이 매력적이다. 현재 전체 초1 학생 중 80%가 참여하고 있다. 양질의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사교육비를 절감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주고 있다.
상생형 직장어린이집의 발전
직장어린이집 현황 | 이용 대상 | 운영 기업 |
포스코 | 협력사 및 지역 중소기업 | 190개사 |
전국 직장어린이집 | 대기업 및 중소기업 | 65곳 |
상생형 직장어린이집은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함께 운영하며, 포스코는 지역 중소기업 직원 자녀까지 이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공동체 의식을 높이고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자 하는 노력이 보인다. 정부는 이러한 상생형 직장어린이집을 운영하는 기업에게 포상 및 재정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다. 이는 앞으로의 지속 가능한 기업 문화를 조성하는 데도 바탕이 될 것이다.
정부의 아이돌봄 서비스 정책
아이돌봄 서비스 확대는 현대 사회에서 매우 중요한 판단이다. 일과 가정을 양립으로 고민하는 워킹맘들에게 도움이 되는 정책으로, 정부는 이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앞으로도 아이돌봄 서비스가 어떻게 발전해 나갈지 지켜보아야 한다. 더욱 많은 부모들이 믿고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기를 바란다.
미래의 돌봄 시스템
아이돌봄 서비스와 관련한 정책이 많이 도입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부모들은 보다 든든한 마음가짐을 가지게 될 것이다. 이러한 변화는 단순히 현재뿐만 아니라 미래의 모든 세대에 걸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전국민이 함께 할 수 있는 돌봄의 문화가 정착되기를 희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