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실 99% 운영 붕괴 우려 전혀 없어!
응급의료 현황과 대응 방안
박민수 보건복지부 제2차관은 최근 응급의료기관의 운영 현황을 보고하며 409개의 응급실 중 무려 99%인 406개소가 24시간 운영되고 있다는 사실을 강조하였다. 이는 응급환자에게 필요한 의료서비스 지속성을 보장하는 중요한 지표라 할 수 있다. 하지만 6.6%, 즉 27개소는 병상을 축소해 운영 중이라는 점은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 있다. 특히, 8월 30일 기준 전체 응급의료기관의 병상 수는 5918개로, 평시인 2월 첫 주의 6069개 대비 97.5% 수준에 그치고 있다. 응급의료체계의 안정성은 환자들에게 필수적이다. 긴급환자 증가는 피할 수 없는 현실이기에 정부는 이 외에도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필요한 조치를 통해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응급의료기관 운영 방안
올해 추석 연휴를 대비하여, 박 차관은 4000개소 이상의 당직 병·의원과 60개의 코로나19 협력병원, 그리고 108개소의 발열 클리닉을 지정하여 경증환자의 지역 내 병·의원 접근성을 높일 예정이다. 따라서 응급의료기관의 접근ability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같은 조치는 전 국민의 건강을 지키기 위한 매우 중요하고 시급한 노력을 보여주는 사례라 할 수 있다. 또한, 당직 병·의원 신청이 부족한 경우에는 응급의료법에 따라 직접 정할 수 있다는 점 또한 주목되어야 한다. 이로써 다양한 방식으로 응급의료 부담을 분산할 수 있다.
- 전공의 공백이 지속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응급의학과 전문의 수는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 응급실 인력은 전공의 이탈로 인해 여전히 부족하여, 보충이 필요하다.
- 지방의 응급실 대비 대형병원의 응급환자 수를 조절할 필요성이 있다.
응급의료 문제 및 해결책
현재 응급의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반 노력은 여러 가지가 있다. 의료 인력 부족 문제는 장기적으로 해결해야 할 구조적 문제다. 따라서 정부는 건강보험 수가를 조속히 개선하고, 군의관과 공중보건의사를 빠르게 배치할 계획을 수립하였다. 이러한 조치는 응급의료 인력을 보강하고, 후속 진료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필수적인 대책으로서, 전반적인 진료 환경을 개선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특히 오는 4일에는 응급실 운영에 필요한 군의관을 배치하고, 9일부터는 235명의 군의관과 공중보건의사를 위험기관에 집중 배치할 예정이다.
응급의료 대책과 기대 효과
박 차관은 응급의료 특별대책의 핵심이 경증환자의 대형병원 응급실 이용 자제를 촉구하는 것이라고 강조하였다. 이로써 대형병원의 부담 경감과 더불어 지역 병·의원의 활용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통해 중증 환자에게 필요한 진료가 지체 없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와 함께 오는 11일부터 25일까지는 추석 명절 비상응급 대응주간으로 운영함으로써 중증환자 진료 차질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도 수립하였다. 이러한 다양하고 실질적인 조치는 의료 이용의 효율성을 높여 응급의료 시스템 전반을 더욱 견고하게 만들 것이다.
미래 의료개혁 계획
단계 | 주요 내용 | 실행 기간 |
단계 1 | 군의관과 공중보건의사 배치 | 2023년 9월 4일 |
단계 2 | 응급의료체계 점검 및 보완 | 2023년 11월 중 |
단계 3 | 전문 의료 인력 배치 및 관리정책 강화 | 2024년 상반기 |
궁극적으로 박민수 차관은 의료개혁의 완수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하반기 중증 수술 및 응급환자의 후속 진료를 위한 여러 수가를 대폭 인상하는 건 필수적이다. 특히, 내년 상반기까지 1000개의 수가를 핀셋 인상할 계획인데, 이는 장기적인 의료 개선에 큰 기여를 할 것이다. 이러한 노력이 이루어지면 중증 및 응급진료에 대해 더욱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대응이 가능해질 것으로 예상한다.
지속적인 협력과 협조 요청
박 차관은 응급의료 체계를 유지하기 위해 의료진과 국민의 협조가 그 어느 때보다도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병원들은 응급의료 유지에 최우선을 두고 책임감 있게 최선을 다해야 하며, 국민들도 위급한 상황이 아닌 경우 대형병원 이용을 자제하고 지역의 병·의원을 이용해 줄 것을 요청했다. 국민의 협조가 응급의료 데이터와 정책의 성공 여부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를 통해 우리는 더욱 효과적인 의료 서비스 체계를 만들 수 있다. 정부는 지속적으로 지역사회의 의료기관과 협력하여 위기 상황을 극복해 나가길 약속하고 있다.